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과이야기

담배, 정말 끊고 싶다면? 국민건강보험 금연프로그램 총정리

by 정보제공자아 2025. 7. 25.


혹시 여러분도 “이번엔 진짜 끊어야지…”라고 다짐만 하다가 1주일도 못 버텨보신 적 있나요? 니코틴은 마약보다 끊기 어렵다던데,

혼자하면 외롭고 금방 포기해 버리시는 분들을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금연치료 프로그램을 소개해드릴게요! 국가와 함께 금연해 보아요!!

 

국가가 지원하는 금연 프로그램이 있다고?

건강보험 가입자나 의료급여 수급자라면 누구나 1년에 최대 3번까지 금연치료를 국가 지원으로 받을 수 있어요.

8~12주 동안 최대 여섯 번의 금연 상담과 회당 4주 이내의 처방을 받아요! 또한 금연치료 의약품을 처방 받아도 되구요, 니코틴 보조제를 제공 받는답니다. 이 모든 비용은 국가에서 부담해요! 

👇 요악하면 👇

  • 8~12주 동안 최대 6회의 금연 상담
  • 의사의 진료 + 금연치료 의약품 처방 or 니코틴 보조제 제공
  • 금연치료에 드는 비용의 최대 100% 지원

 

비용 걱정 NO!

진짜 무료로 금연할 수 있을까? 1~2회차에는 20% 본인 부담금이 있으나 프로그램을 끝까지 이수하면 이 금액까지 돌려 받을 수 있어요! 3~6회차는 본인부담금 없이 전액 무료랍니다. 

  • 1~2회차 상담과 약값의 80% 지원
    → 단, 저소득층은 100% 지원
  • 3~6회차는 모두 전액 무료!
  • 프로그램을 끝까지 이수하면
    → 1~2회차 본인부담금까지 환급!

즉, 금연을 성공하고 프로그램을 끝까지 따라가면 **실질적인 비용 부담이 ‘0원’**이 되는 거죠.

 

“진짜 효과 있을까?”

처음 상담 때 의사는 참여자의 상태에 따라 **금연치료 의약품(바레니클린 또는 부프로피온)**을 처방해줄 수 있어요.
금연보조제가 필요한 경우엔 니코틴 패치나 껌, 사탕도 선택할 수 있고요. 2주만 금연해도 폐 기능이 개선된다고 합니다! 안 할 이유가 없지요!

금연후 시간경과에 따른 신체변화
금연 후 시간경과에 따른 신체변화

참여 방법, 어렵지 않아요!

여러분도 금연을 진지하게 결심하셨다면, 이 프로그램 꼭 활용해보세요.

 

👇 참여 순서 👇

  1. 금연치료 참여 의료기관 방문
  2. 금연치료 등록
  3. 의사 진료 + 상담
  4. 금연치료 의약품 처방전 or 보조제 상담확인서 발급
  5. 약국에서 의약품/보조제 수령

👉  금연치료 의료기관 찾기

👉 참여 가능한 의료기관은 ‘금연치료 의료기관 찾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금연치료 의료기관 찾기
금연치료 의료기관 찾기

 

 

마지막으로...

"의지보다 중요한 건, 시스템의 도움입니다."

여러분, 담배는 혼자 끊기 너무 어렵습니다.
하지만 국가가 도와주는 시스템, 전문가의 상담, 경제적 지원이 있다면 가능성은 훨씬 높아지죠.
건강을 위한 첫걸음,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